애월명소 6

제주시 애월읍 가볼만한곳(5) : 새별오름

▶ 위치 :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59-8 ▶ 표고 : 519.3m, 비고 : 119m ▶ 형태 : 복합형 ▶ 탐방 소요시간 : 50분 ▶ 조망 포인트 : 한라산, 오름, 억새 ▶ 난이도 : 중 ▶ 입장료 : 무료 ▶ 주차장 : 있음 새별오름은 동쪽 하늘에 보이는 샛별처럼 외롭게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30분 정도만 걸어가면 정상에 도달할 수 있다. 억새꽃이 만발하는 10월 중하순경 절정을 맞이하며, 바람에 일렁이는 억새꽃은 장단에 맞춰 한바탕 춤사위를 펼치는 학처럼 보이기도 한다.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 푸른색 화살표를 따라 가다 주차장A를 지나 주차장B에 주차를 하고 붉은색 화살표 방향을 따라 올라가는 것이 역순보다 조금더 완만하여 수월하다. 새별오름 정상에서 바라본 주차장A이다. 오름 동쪽편에..

제주 2023.06.20

제주시 애월읍 가볼만한곳(4) : 상가리팽나무 & 수산리곰솔

1. 상가리팽나무 ▶ 위치 :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1666(네이버맵 : 상가리팽나무, 카카오맵 : 천년폭낭) ▶ 탐방 소요시간 : 10분 ▶ 주차장 : 없음 수령 900년이 넘는 제주에서 가장 나이 많은 나무로 1959년 사라호태풍 때 기울어져 지금과 같은 누운 모습을 하고 있는데, 나무가 워낙 크다 보니 제주4.3사건 당시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 속에 몸을 숨기기도 하였다고 한다. 제주도는 이 상가리팽나무(천년폭낭)의 역사성과 보존가치를 인정하여 1982년 제주도 나무로 지정하였다. 제주 애월의 상가리 마을 주변에 체류하고 있다면 시골마을 구경을 겸해 방문해 볼만한 곳이다. 2. 수산리곰솔 ▶ 위치 :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2274 ▶ 탐방 소요시간 : 10분 ▶ 주차장 : 있음 조선 중기인 1600..

제주 2023.06.18

제주시 애월읍 가볼만한곳(3) : 아르떼뮤지엄 제주

▶ 위치 : 제주시 애월읍 어림비로 478 ▶ 개장시간 : 10:00~20:00(19:00 입장 마감, 연중 무휴) ▶ 관람 소요시간 : 1시간 이상 ▶ 입장료 : 유료 ▶ 주차장 : 있음 ▶ Tel. 1899-5008, 064-799-9009 제주에 여행왔다가 폭설, 폭우, 강풍 등 날씨가 좋지 않아 어디갈까 고민이 된다면 실내에서 전시가 펼쳐지는 이곳이 최고의 선택지가 될 것 같다. 방문 차량이 많아 주차장이 혼잡하다고 느껴질 수 있으나 주차 관리인이 안내해 주기 때문에 주차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으로 스피커 제조공장으로 쓰이던 1,400평 규모의 바닥과 최대 높이 10m에 육박하는 공간에서 다양한 주제를 가진 10여 개의 미디어아트 전시가 펼쳐진다...

제주 2023.06.16

제주시 애월읍 가볼만한곳(2) : 한담해안산책로 & 곽지해수욕장

1. 한담해안산책로 ▶ 위치 :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 1359 ▶ 탐방 소요시간 : 20분 ▶ 입장료 : 무료 ▶ 주차장 : 있음 제주올레길 15코스의 일부인 애월 한담공원 아래쪽 해안 들머리에서 곽지해녀의집(음식점)까지 이어지는 약 900m의 해안 둘레길로 제주의 자연을 만끽하며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한담해안산책로 북쪽 들머리에 위치한 한담공원 주차장으로 방문객이 많아 늘 붐빈다. 한담해안산책로 남쪽 들머리인 곽지해녀의집 앞에 위치한 주차장으로 공간은 협소하나 방문객이 적어 주차하기 편하다. 곽금올레길이라는 별칭을 가진 한담해안산책로는 2001년 조성할 때부터 주변 경관을 훼손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데 중점을 두고 만들었기 때문에 곡선형 해안길에 검은색의 용암바위, 옥빛 바다와 조화를 이뤄 걸어가는 ..

제주 2023.06.14

제주시 애월읍 가볼만한곳(1) : 애월해안도로 드라이브코스

▶ 위치 : 가문동포구(출발 지점)~애월항(도착 지점)까지 8.5㎞ 구간 ▶ 운전시간 : 15분 애월해안도로는 가문동포구에서 애월항까지 이어지는 제주 서부지역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 가운데 하나다. 이 해안드라이브 코스에는 음식점, 카페들이 즐비하여 쉬어가며 즐기기엔 최고다. 소금빌레로 불리는 「구엄리 돌염전」은 조선 명종 14년(1559년) 제주목사 강려(姜侶)가 주민들에게 햇볕으로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면서 전파된 제염 기술 가운데 하나로 1950년대 이후 값싼 소금이 밀려 들어오면서 생산을 중단했다. 고내리포구와 용천수 우주물이다. 제주올레길 15코스와 16코스의 경계지점에 위치한 고내리포구에 잠깐 멈춰 주변을 산책하거나 고내리포구에서 구엄리 돌염전까지 해안누리길(편도 4.8..

제주 2023.06.12